참고 ; 실용예제로 배우는 웹표준 (댄 씨더홈 지음. 박수만 옮김. 에이콘. 2005년 8월) / 실전 웹표준 가이드(2005)
.....................................................................................................................................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기본언어.
CSS(Cascading Style Sheets) ; 사용자 정의의 디자인 속성을 지정(글꼴, 크기, 색상, 이벤트 등)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HTML이나 CSS로서 표현되지 못하는 영역을 DTD를 이용하여 정의하여 사용자 정의의 태그를 생성하여 제작할 수 있는 언어.
DOM(Document Object Model) ; 웹페이지에 표현되는 모든 속성에 대해 객체화 하여 이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것
■ 웹표준의 장점
- 마크업 용량이 줄어든다. (코드량이 줄어듬 - 로딩시간이 빨라짐 - 서버비용을 줄일 수 있음)
- 컨텐트와 문서 모양을 분리할 수 있다. (수정이나 리뉴얼이 용이)
- 웹 접근성이 높아진다. (대부분의 브라우저, 휴대폰, PDA, 장애인용 소프트웨어에서도 쉽게 읽을 수 있다)
- 향후 호환성을 보장받는다. (향후에도 그 문서를 확실히 읽을 수 있다.)
■ 웹 표준에서 구조, 표현, 행동의 분리
- 구조(Structure) : HTML, XHTML
- 표현(Presentation) : CSS
- 양식(Behavior) : DOM, ECMAScript
■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 www.w3c.org
1994년 10월 미국의 MIT 컴퓨터 과학 연구소, 정보수학유럽연구 컨소시움, 그리고 일본의 게이오 대학이 연합하여 만들어진 국제적인 웹기술 표준기구.
W3C의 역할은 정보, 의견교환, 아이디어 창출, 독립적 사고, 그리고 공동의 이해를 위하여 명세, 가이드 라인, 소프트웨어, 그리고 도구 및 규칙 등의 표준안을 제정함으로써 웹의 모든 잠재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웹에 관련한 표준에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표준(standard)은 존재하지 않으며, W3C의 토론을 통해 나온 권고안(Recomendation)이 가장 최상위이다.
■ 웹 표준이 정해지는 순서
Draft -> Working Draft -> Candidate Recommendation -> Randidate Recommendation
권고안을 제정하는 방법은 1)어떤 기능을 Draft로서 제안하고, 2)드래프트를 실제로 적용할 수 있게 기술적인 작업을 하고(Working Draft), 3)이를 다시 논리 오류가 없는지, 실제 하드웨어에서 지원이 가능한지를 살피고, 4)정식 권고안이 되기 전에 기업체에 공개하여 토론을 거친 후 (Recommendation Candidation), 5)마지막으로 권고안(Recommendation)을 확정한다.
■ W3C 유효성 검사 : http://validator.w3.org / http://validator.kldp.net
■ 왜 XHTML을 사용해야 하는가? (XHTML으로 전이함으로써 얻는 잇점)
- 호환성 및 확장 가능성 (XML애플리케이션의 사용)
- 유지 비용의 감소 및 재상산성 확대
- 경량의 로딩속도
'컴퓨터 > 웹언어/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레이아웃 ; 2단 왼쪽고정 (0) | 2010.01.19 |
---|---|
CSS 기초 (0) | 2010.01.19 |
XHTML 기초 2 (0) | 2010.01.19 |
PHP 설정 (0) | 2010.01.19 |
웹페이지에 Shortcut Icon을 만들자! [ 파비콘(Favicon.ico)을 활용하자 ] | (0) | 2010.01.19 |